top of page

“백신 사망 부검 사례를 재검토한 결과 73.9 %가 백신 기인성 심근염 사망으로 판단” 피터 맥컬러 박사와 론 존슨 상원의원, 상원 PSI 청문회서 mRNA 백신 부작용 정면 제기

최종 수정일: 7월 13일


ree

워싱턴 D.C. 2025.5.27


By 김정현


미국 상원 국토안보·정부활동위원회 조사소위(PSI)는 5 월 21 일 “과학과 연방 보건당국의 부패: mRNA 백신 부작용 축소·은폐”를 주제로 119대 의회 첫 청문회를 열었다. 개회를 선언한 론 존슨(공화·위스콘신) 소위원장은 “3년 넘게 ‘음모론’으로 매도돼 온 피해 주장을 의회 기록에 남기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존슨 위원장이 소환장으로 확보해 공개한 CDC·FDA 내부 이메일 2,473쪽에는 2021년 4월 16~24세 남성에서 심근염 이상신호를 포착하고도 공식 경고문(HAN)을 ‘임상 참고’로 격하한 결정 과정과 “제약사에 먼저 내용을 전달”‧“운동 자제 문구를 삭제”하라는 지시가 적나라하게 담겨 있었다. (hsgac.senate.gov, hsgac.senate.gov)


‘치명적 단백질’ 경로를 밝힌 맥컬러 박사의 경고


청문회 1패널 핵심 증인은 심장내과 권위자 피터 맥컬러 박사였다. 그는 700편 이상 심장학 논문을 발표한 경력을 내세우며 “전 세계 백신 사망 부검 사례를 재검토한 결과 73.9 %가 백신 기인성 심근염 사망으로 판단됐다”고 단언했다. 맥컬러 박사는 mRNA가 뉴클레오사이드 변형을 통해 체내 분해 효소에 ‘보호막’을 입었기 때문에 6~9개월간 잔류하며 스파이크 단백질을 지속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이 단백질은 혈관 내피를 공격해 전신 염증·흉부 통증·부정맥·급사까지 유발한다. 제약사·규제당국 누구도 이 경로를 초기 임상 단계서 밝히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다음은 맥컬러 박스의 주요 증언 내용이다.


  • “2021년 2월 28일 이스라엘 보건부가 ‘젊은 남성 심근염 다발’ 사례를 CDC에 전달했을 때, 저는 심장학자로서 즉시 자료를 검토했다.”

  • “사흘 뒤 미 국방부 DMED 데이터에서도 동일 패턴이 나왔지만, CDC는 이 사실을 거의 두 달간 언론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 “저와 국제팀은 부검 57건을 재분석했고, 그중 70 % 이상이 백신 기인성 심근염으로 결론.”

  • “독특한 점은 스파이크 단백질이 심근세포 핵 주위에 침착돼 바이러스 감염과는 다른 광범위 괴사를 유발한다는 것.”

  • “해당 슬라이드는 이미 국제 심장학회에 제출됐고, 반박 논문은 4개월째 없다.”

  • “mRNA 사슬은 ψ-유리딘 치환으로 리보뉴클레아제 분해를 회피해 6~9개월 혈중에 잔류한다.”

  •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도 장기간 순환하며 내피세포를 공격하고 응고 시스템을 혼란시킨다.”

  • “BNP·트로포닌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와도 심장 MRI T1/T2 지도에서 섬유화 흔적이 남아 장기적 부정맥 리스크를 예고한다.”

  • “제 외래 코호트 472명 중 30대 남성 33 %가 접종 17일 전후로 부정맥을 경험했고, 10대도 11 %에 달한다.”

  • “이 수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기저율의 수십 배에 해당한다.”

  • “CDC는 ‘드물다’고 말하지만, ‘드물다’의 분모에 기저 위험군 전체가 아닌 실제 피해군을 놓아야 한다.”

  • “백신 접종 후 사망한 마라톤 러너 케이스처럼, 고강도 운동이 트리거가 된다는 증거도 3건 이상 있다.”

  • “그럼에도 FDA 라벨에는 ‘운동 제한’ 지침 한 줄조차 없다.”

  • “동종 mRNA 플랫폼 사용이 예정된 호흡기 바이러스 백신이 추가되면, 심근염 총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 수밖에 없다.”

  • “나는 규제당국이 ‘안전성 표준’을 의도적으로 약화시켰다고 판단한다.”

  • “인과성을 부정하려면 ‘무작위 이중맹검 사망 감소’ 근거를 내야 하지만 그런 논문은 단 한 편도 없다.”

  • “오히려 올코즈 사망률은 2021년에 증가했으며, 이는 백신 혜택이 광범위하다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 “나는 화이자·모더나에 ‘블랙박스 경고: 사망 및 영구적 심근 손상 위험’ 표기를 의무화하라고 요청한다.”

  • “VAERS를 패시브에서 자동화·실시간 서베일런스로 전환해야 하며, 내부 데이터를 완전 공개해야 한다.”

  • ‘부작용 은폐’는 의료 윤리의 붕괴이자 공중보건 불신의 씨앗. 미래 세대가 오늘 우리가 데이터를 거부했는지, 아니면 진실을 수용했는지 평가할 것.”


현미경 사진으로 ‘미세 혈전’ 증명


버밍햄 소재 메드헬프 클리닉 대표 조던 본 박사는 면역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환자 혈액 샘플을 제출했다. 스파이크 단백질 주변에 섬유소가 ‘아밀로이드 응집체’ 형태로 뭉친 장면이 포함돼 있다. 본 박사는 “장기 산소 공급을 방해하는 이 응집체는 마라톤 선수부터 십대 청소년까지 광범위한 호흡 곤란‧뇌안개‧운동 후 탈진을 낳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클리닉은 4,000명 넘는 롱 코로나·백신 부작용 환자를 관리 중이며, “진료 현장에서 확인된 사례만으로도 추산 피해자는 최소 1,500만 명”이라고 주장했다.


“백신 접종 후 유산율이 화학적 낙태제 수준”


44년 경력의 산모·태아 전문의 제임스 소프 박사는 백악관‧CDC‧산부인과학회(ACOG)의 2021년 대국민 메시지를 “행동과학적 설득 캠페인”으로 규정했다. 그는 논문 데이터를 인용해 “임신 첫 분기 접종군 유산율이 82 %로 화학적 낙태제 RU-486 수준”이며, 랫드 연구에서는 “접종 후 난소 예비능이 60 % 소실됐다”고 지적했다. 소프 박사는 “임신부가 접종하면 태아도 사실상 실험군이 된다. 그러나 임상 3상에는 임신부가 포함되지 않았고, ACOG·SMFM(태아의학회)은 재정 지원을 받은 이후 ‘안전하다’는 성명을 반복 배포했다”고 말했다.


피해자 목소리: “FDA를 신뢰한다” 답변 0 명


정형외과 의사에서 한순간에 의료 퇴직자가 된 조엘 월스콕 박사는 모더나 1차 접종 일주일 만에 T8‧T9 횡단성 척수염 진단을 받았다. 그는 “CDC·NIH 어디에도 치료 가이드가 없었다”며 자체 커뮤니티 ‘REACT 19’를 공동 설립했다. 설문조사 결과(응답 36,000명) “FDA가 부작용을 진지하게 다룬다”에 ‘그렇다’고 답한 인원이 0명으로 나타나자 회의장에 탄식이 흘렀다. 월스콕 박사는 “CICP(대응조치 상해보상 프로그램) 청구는 98 %가 기각됐다. 정부가 책임을 면했다면 보상은 최소한의 의무”라고 호소했다.


“백신만이 소송 불가능한 제품”


이날 법제 분석을 맡은 애런 시어리 변호사는 1986년 ‘국가 어린이 백신법’과 코로나 팬데믹 시기 발효된 프렙법(PREP Act)을 “제조물 책임의 블랭킷(전면 담요) 면책”으로 규정했다. 약 40명 규모의 백신 전문 로펌을 이끄는 그는 “미국 소비자는 자동차‧가전‧일반 의약품 결함은 모두 제조사를 상대로 ‘설계 결함’ 소송을 제기할 수 있지만, 백신만 예외”라고 설명했다. 시어리는 FDA 제출 자료를 분석해 “대부분 어린이 백신 임상은 위약 대조군 없이 수주(週)의 안전성 관찰만 거쳤고, mRNA 백신 역시 최대 6개월 추적”이라며 “연방 보건당국은 ‘홍보자’와 ‘감독자’라는 상충 임무로 구조적 이해충돌 상태”라고 주장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의 ‘보상 개혁’ 가세…정책 전환 신호탄


보건복지부 장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는 청문회 직후 가진 별도 브리핑에서 “부작용 논의를 음모론으로 봉쇄하면 공중보건 신뢰 자체가 붕괴한다”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 백신 피해 전담 기금 ▲VAERS 자동화 업그레이드 ▲‘백신 법정’(VICP) 절차 개편 태스크포스 구성을 발표했다. 최근 STAT 뉴스 인터뷰에 따르면 케네디 장관은 4월부터 ‘데이터 신뢰성 위원회’와 ‘보상 확대 실무그룹’을 가동 중이며, “의회 협조 없이는 한계가 있지만 예산 권한 내에서 최대한 피해자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케네디 장관은 일주일 전 폭스뉴스·터커 칼슨 인터뷰에서 “진실위원회(Truth Commissions)를 설치해 정부·제약사의 책임을 규명하겠다”는 강경 발언으로 화제를 모았다. 그는 “가장 큰 장벽은 내부 문서 파쇄·FOIA(정보공개법) 회피”라며 PSI와 공조 의사를 밝혔다.


CDC·FDA·학계의 반론과 남은 과제


CDC는 본지 질의에 “심근염·심막염은 매우 드문 현상이며 대다수 환자가 단기간 내 회복했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한 ACIP(예방접종자문위원회)가 2021년 6월 ‘접종 이득이 위험을 상회한다’고 결론낸 MMWR 보고서도 다시 제시했다. (cdc.gov, cdc.gov)


그러나 존슨 위원장은 “CDC가 위험·이득 분석을 제대로 하려면 내부 원자료를 전량 공개해야 한다”며 후속 청문회를 예고했다. 그는 ▲블랙박스 경고 의무화 ▲장기 후유증 추적 코호트 설립 ▲CICP 개편·예산 확대 ▲PREP Act 책임 면제 범위 축소 등을 포함한 초당적 ‘백신 안전·책임 패키지 법안’을 여름 회기 중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간사 리처드 블루멘솔은 “백신이 수백만 생명을 구했다”는 모델링 자료를 들어 방어했지만, 증인들은 “블로그 기반 추정치일 뿐 피어 리뷰 연구가 아니다”라고 맞섰다. 청문회 막바지 존슨 위원장은 “이번 의정 기록은 미래가 과학적 투명성 대신 검열을 선택했는지 평가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며 “데이터는 살아남고, 은폐는 결국 드러난다”고 말했다.


쟁점

피해 측 주장

정부·학계 주요 반론

향후 조치

심근염 위험

부검 73.9 % 백신 기인성 사망(맥컬러)

“대부분 회복, 발생률 낮음”(CDC)

장기 코호트·스포츠 활동 가이드라인 재검토

신경계·혈전

미세 아밀로이드 응집·척수염·뇌안개(본·월스콕)

연구 미흡

NIH 외부 위탁 연구, 임상코드 신설

산과적 안전성

유산 82 %‧난소 손상 60 %(소프)

데이터 부정확·표본 한계(ACOG)

FDA 산모 레지스트리·동물실험 재현

보상 체계

CICP 기각 98 %, 배상 평균 2만$

“법률·예산 제약”(HRSA)

케네디 TF·특별기금·법 개정 논의

책임 면제

PREP Act·1986법 전면 재검토

“공중보건 대응 필요”

존슨 패키지·하원 대응 법안

PSI 청문회는 기존 ‘음모론’ 딱지 속에 묻혔던 백신 피해 담론을 입법·행정 현안으로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분수령이 됐다. 케네디 장관이 내건 ‘보상 개혁’이 의회와 공조해 실제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지, CDC·FDA가 내놓을 추가 데이터가 어느 쪽의 주장에 무게를 실어줄지 주목된다. 미국 사회가 “부작용은 허위”와 “정부는 은폐했다” 사이에서 내려야 할 최종 판단의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댓글


  • tiktok
  • Youtube
  • 엑스

상호 : 백서스정책연구소
Bexus Policy Research Institute

사업장 소재지 : 1901 Pennsylvania Avenue NW, Washington, D.C 20006 (워싱턴D.C.)
 

대표자 : 김정현 / Alfred J Kim

연락처 : 010 3185 0445 (한국)
703 512 8897 (미국)

7070

제휴문의 : ceo@bexus.info

bottom of page